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 정의, 비교

by 뚱아뚱우아빠 2024. 3. 19.

뉴스에 나오는 범죄자들을 분석하면 사이코패스니 소시오패스니 하는 용어들을 들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현실뿐만 아니라 드라마와 영화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인간의 심리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무엇이 다를까요?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정의와 비교 지금 시작합니다.

충동적인-감정
충동적인 감정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정의

정신을 뜻하는 사이코(psycho)와 병리상태를 의미하는 패시(pathy)의 합성어인 사이코패시(psychopathy)는 폭력적이고 광기적인 인격 장애 측면에서의 정신병질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성향을 지닌 사람을 사이코패스(psychopath)라고 부른다. 사이코패스는 반사회적인 행동이 주를 이루며, 사회적, 관계적 공감 능력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 결여되어 있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극단적으로 자기중심적이다. 19세기 프랑스 정신과 의사 필리프 피넬이 처음 언급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을만한 사이코패스의 대표적 인물이라고 한다면 영화 배트맨에 나오는 조커를 말할 수 있다. 공감 능력 결여된 정신이상자로 충동적이고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정신분열증 광대, 조커야 말로 사이코패스를 제대로 말해 주는 캐릭터이다. 반면, 사회를 뜻하는 소시오(socio)와 병리 상태를 의미하는 패시(pathy)의 합성어로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소시오패스(sociopath)라고 부른다. 미국 정신분석학회는 소시오패스를 법규를 무시하고 인권을 침해하는 등을 반복해 저지르는 정신질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사이코패스와는 조금 다르게 감정을 통제하고 뛰어난 두뇌와 잔머리로 반사회적 행동을 저지르는 것이 소시오패스의 특징이다. 히틀러나 후세인 같은 절대 권력을 가진 독재자나, 부패한 종교의 교주들이 대표적인 소시오패스에 해당한다.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비교

사이코패스는 전두엽과 편도체가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선척적 장애에 속한다. 도덕적 판단력과 자제력이 부족하여 즉흥적이고 두려움이 없어 극단적 범죄를 일으키는 사례가 많다. 또한 피해자에 대해 죄책감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이코패스에겐 양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런 가책을 느끼지 않는다. 반면 소시오패스는 선척적 요인보다는 살아온 성장 환경과 경험에 의해 발생하는 인격 장애이다. 따라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는 있지만 자신의 그릇된 행동을 인지하고 있다. 즉 인지를 하고 있음에도 그릇된 행동을 멈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이코패스는 즉흥적인 범죄를 저지르는데, 소시오패스는 치밀한 계획을 세우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사이코패스는 심리학적 정신질환, 소시오패스는 사회학적 정신질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사이코패스의 경우 선척적인 요인이 강하기 때문에 자신의 그릇된 행동에 대한 인지가 어렵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어렵지만, 소시오패스는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주변에서 사이코패스를 구별하기란 쉽지 않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사이코패스보다 소시오패스가 훨씬 많다. 전 인구의 4% 정도가 소시오패스라고 하니 우리 주변에 1명쯤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은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정의를 알아보고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좋으 정보로 소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