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딸과 아들은 시간이 남을 때 같이 비디오 게임을 하곤 합니다. 아무래도 첫째인 딸이 아들보다 게임을 더 잘하는데요. 게임에 질 때마다 울먹이는 아들은 "나는 게임을 못하나 봐. 이제 게임 안 할 거야."라고 말을 합니다. 그러면 바로 딸내미에게 이야기를 하죠. "너는 누나가 돼서 동생한테 좀 봐주면서 하지." 그러면 딸이 이야기하죠. "누나는 왜 봐줘야 하는데? 계속 봐주면서 했어요." 맞는 말입니다. 즐기려고 하는 게임을 계속 져줄 의무는 없죠. 형과 누나는 동생에게 봐줘야 한다. 강자는 약자를 배려해야 한다. 게임에 지는 건 내가 게임을 못해서다. 맞는 말 같지만 불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불합리적인 신념에 따라 말과 행동을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불합리적인 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앨버트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합리정서행동 치료
인지행동 치료의 창시자로 불리는 앨버트 엘리스가 개인의 불합리적인 신념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만들었습니다. 이 치료법의 가정은 개인의 비합리한 신념이 불필요한 감정적 고통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신념을 올바르게 변화시킴으로써 사람들이 더 건강한 감정적 반응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합리정서행동 치료는 특히 '어쩌면, 항상, 절대로' 등과 같은 생각 패턴을 식별하고 수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수용, 책임, 인식, 그리고 장기적으로 더 건강한 정신 상태로의 전환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과정은 자신의 불합리한 신념을 인식하는 자각단계, 불합리한 신념에 도전하고 그 근거를 분석하는 분쟁단계, 불합리한 신념을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신념으로 바꾸는 대체단계, 새로운 신념에 따라 행동을 변경하여 새로운 결과를 경험하는 행동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BC이론 : ABCDEF 모델
합리정서행동 치료의 기본절차입니다. A(선행적 경험) → B(신념, 선행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생각) → C(결과, 신념으로 발달된 행동) → D(논쟁, ABC과저에 대한 논박) → E(효과, 논쟁에서 발생된 새로운 신념) → F(감정, 새로운 신념을 통한 느낌)을 나타냅니다. 아들의 상황을 예로 들면 A(누나와 게임을 하면 계속 진다.) → B(내가 게임 실력이 모라르니 더 연습을 해서 누나에게 이겨야지) → C(연습을 했는데도 계속 지는 것을 보니 내가 게임에 소질이 없나 봐. 이제 게임 안 할 거야) → D(아들, 누나는 너보다 나이가 많고 조작법이나 이기는 방법에 대해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길 수 있었던 거야. 아들도 학년이 올라가고 더 많은 경험이 쌓이면 누나를 이길 수 있을 거야. 자신감을 갖자. 그리고 게임은 이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함께 하면서 느끼는 즐거움도 있는 거야. 혼자서 게임하면 재미없지? 함께 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이겼을 때 즐거움도 느끼면 더 좋겠다) → E(맞아. 혼자 하는 것보다는 누나랑 게임하는 게 더 재미있어. 더 노력해서 다음에는 이겨야지) → F(게임에 졌지만 함께 게임하는 게 더 재미있네. 누나 축하해. 다음에는 내가 이길거야) 실제로 제 아들의 변화된 모습니다. 누나에게 게임에 이겼으니 축하한다고 말을 할 때는 대견스럽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비단 부모가 자녀를 훈육할 때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지발달이론 중 합리정서행동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더 유용한 내용으로 소통하겠습니다. 뚱하~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지랖 넓다 : 참견의 심리 (2) | 2024.04.16 |
---|---|
매슬로우 : 욕구 5단계 (0) | 2024.04.11 |
가스라이팅 : 뜻, 종류 (2) | 2024.04.08 |
피터팬 : 줄거리, 피터팬증후군 (2) | 2024.04.05 |
만우절 : 유래, 거짓말의 심리학 (2) | 2024.04.01 |